본문 바로가기
LOG/둔대2기(06-08)

2006-12-05 KBS HD 역사스페셜을 보다가.

by Anakii 2006. 12. 5.


KBS HD 역사스페셜 보다가 재미있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임진왜란전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신수길) 가 침략의 야욕을 가지고 지니고 있었다는 한중일 삼국지도를 보면서 느낀 점이 있었는데요. 

이것은 조선에서 만든 지도가 아니라 도요토미가 가지고 있는 지도입니다. 

이 지도에서 조선의 수도 이름은 경(京)입니다. "수도" 라는 뜻의 글자이죠. 

하지만 중국(차이나)의 수도들은 북경, 남경입니다. 말 그대로 북쪽 수도, 남쪽 수도라는 말이지요. 표식 또한 조선 수도인 경(京)과는 달리 글자에 흰색 표시가 있습니다.

이 지도만 보자면, 도요토미의 생각에 중국이란 나라는 없으며 조선반도의 수도인 서울이 말 그대로 경(京, 수도)이고, 중국의 북경,남경은 말 그대로 북쪽 요충지, 북경과 남쪽 요충지 남경이죠?

또하나, 눈여겨 볼 것. 

어떤 나라 사람이든지, 지도를 만들 때는 자기나라를 가운데에 놓고 만듭니다. 하지만 도요토미가 가지고 있었다는 이 지도. 이상하지 않습니까?

마치 조선이 중심이고, 일본과 중국(명나라)는 주변국 같게 만들지 않았나요? 일본을 가운데 놓아도 이 지도상에서 별 의미 없는 명나라의 왼쪽만 가릴 뿐인데, 쓸데없이 명나라를 많은 부분 표시해 두고 조선을 가운데 떡 놓았군요


이 지도, 생각해 볼 부분이 많은 자료로군요.


조선 서울 경(京)입니다. 고려라는 표식이 위에 있네요. 일본에서 한반도를 향해 흔히 부르던 명칭인 "고려" 의 수도(京)이란 말이죠


이번엔, 일본 부분. 아무리 침략을 위한 지도라 해도 본국엔 수도조차 없다는 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일본엔 없는 "수도"가 조선에는 나라 이름 포함하여서 있고, 중국에는 없습니다.
느끼는 점이 있네요.... 


이건 여담입니다. 일본은 조선을 계속 "고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위에위에 그림에 고려수도 "경(京)" 쓴것과 관련 있지요?
이 문서가 쓰인 날자는 천정 20년 정월, 1592년 정월 입니다. 도요토미의 지시서한이며 도요토미의 인장이 찍혀 있는 이 문서는 고려(조선)에서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적어 놓았습니다.



먼저 고니시(小西行長) 휘하의 장수인 오오제키(大關)의 전기인 <조선정벌기(朝鮮征伐記)>에는

"5월 3일 술시(오후 8시) 조선의 도읍 동대문 안으로 진입, 거기서 황성(皇城)의 모습을 바라보니,옥루금
전(玉樓金展) 늘어선 기와집, 널따란 성벽들의 조형미는 극치에 달하고 수천만 헌(軒)과 늘어선 대문들,보
귀로운 모습은 이루 말로 다할 길 없다. 그런데도 막아 싸우는 병사들은 보이지 않고 대문은 굳게 닫혀 있어 온통 적막하였다."고 서술되어있다.

오오제키는 그가 처음 본 경복궁의 모습과 이를 본 왜군 장수들의 태도를 다음과 같이 묘사
하였다.


'내리(內裏)로 들어가 보니 궁전은 텅 비었고, 사대문은 제멋대로 열려 있었다. 그제야 전각을 자세히 살펴
보니 궁궐은 구름 위에 솟아 있고 누대는 찬란한 빛을 발하여 그 아름다운 모습은 진궁(秦宮)의 장려함을
방불케 하더라..... 후궁(後宮)에는 화장품 향기가 감돌고 산호의 대상(臺上)에는 화려한 거울이 덧없이
남아 있었다. 난 향기는 전각 밖까지 풍기고 사람 살던 자취도 그렇거니와 하염없는 구슬로 장식한 침상들
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건물마다 문이 열려 있고 궁문을 지키는 자 없으니, 어디를 보아도 처량하기 그지
없다. 그토록 용맹한 고니시도 천자(天子-國王)의 옥좌(玉座)에 절을 하고 신성하고 고아한 분위기에 휩싸
여 두 눈에 눈물이 괴니 소오스시마, 아리마, 오무라도 따라서 눈물을 흘리었다.'

위의 자료는 왜군이 들어 오던 당시 서울의 상황에 관한 조선측 자료보다 신빙성이 크다. 이렇
게 보면 당시 왜군의 선봉대로 고시니 부대가 서울에 처음 들어 온 5월 3일에는 궁궐이 파괴되
지 않은 상태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왜군의 두 번째 부대인 가토오(加騰淸正) 부대가 서울에
들어 온 때는 이튿날 5월 4일 오전이었다. 그때까지도 궁궐은 보전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