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공부/연수 기록133 분수의 나눗셈(6학년) - 나눗셈의 정의! 5학년 분수의 나눗셈(젯수가 자연수) - 6학년 분수의 나눗셈 (젯수가 분수)"역수로 바꾸어 곱하는 원리를 설명한다."기;존의 교과서는 나눗셈을 포함제(동수누감)로 설명한다. 그러나 1/2 ÷ 3/4 과 같은 경우 포함제로는 이해할 수 없다. 포함이 되지 않는다. 5-2 분수의 나눗셈을 준비학습으로 제시하여 준비도 점검하기진분수 ÷ 진분수를 통해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확인하여 다른 나눗셈에도 도입한다.5학년의 준비학습은...아래. 나눗셈이란?단위량에 대한 비율을 구하는 것. 나눗셈의 결과? 제수가 1일 때의 양. 제수를 1로 만드는 과정임. 위 문제에서 1m 가 알고자 하는 젯수이므로 4/5 ÷ 3/7이 된다. 2015. 3. 28. 소수 × 자연수 지도 소수 × 자연수 소수의 곱셈 원리 접근은? 2015. 3. 28.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3/8 × 5 의 풀이 3/8 은 1/8(단위분수)이 3개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함. → 1/8이 3개 있는 것이 5개 있다. (1×3×5=15) ∴ 15/8 분수의 나눗셈 나눗셈은 보통 역연산을 통해 곱셈 구구로 풀이하는데, 3/4 와 같은 셈은 역연산으로 풀리지 않는다, 그렇다면? 3÷4 를 어떻게 해결할까? 3÷4 를 어떻게 해결할까? 3을 4등분한다는 것의 뜻? ▶ 1을 4등분한 것이 3개 있다! 곧 3*1/4 이 됨. 수막대 모델에 의해 나눗셈이 역수의 곱셈으로 해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함. 진분수 ÷ 자연수의 셈 (3/4÷2) 수막대로 제시 3개를 4개로 나눈다 - 1개를 각각 4개로 나눈 것의 3배 라는 개념으로 접근. 2015. 3. 23. 분수의 덧뺄셈 지도 준비학습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 지도 일반적인 질문의 답 ▼ 문1) 왜 분모는 두고 분자끼리 덧셈을 해야 하지? 문2) 왜 가분수는 대분수로 바꾸어야 하지? 그림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교사가 제시해도 된다. 분모가 같은 분수의 뺄셈 지도 일반적인 질문의 답 ▼ 확장 질문 분수막대를 이용한 덧뺄셈 지도 분수막대 : http://www.mathsisfun.com/numbers/fraction-number-line.html 1) 통분의 경우, 아동들의 여러 방법을 모두 수용 - 분모끼리의 곱으로 통분한 사람과 최소공배수를 활용한 방법 모두 인정하고 두 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한다. 2)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여 해결 탐색하기 - 그림을 활용하면 이해가 쉽다. 대분수, 가분수, 진분수 대분수를 가분수로 꼭 고쳐야.. 2015. 3. 23. 공약수, 공배수, 약분 지도 공약수, 공배수, 약분, 통분을 지도하는 새로운 방법교과서의 순서대로 하면 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약분, 통분을 하는지 의문 없이 기계적인 방법만 익히게 한다.왜 필요한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생각하여 활동을 도입해야 함. 개념에 대한 이해 없는 학습은 학습이 아님. 약분 지도 분자와 분모의 공약수가 없을 때 (서로 소 관계) 기약분수라고 한다. 소수 개념 지도해야 함 분수 막대 (색종이 막대) 도입실제 종이접기를 하며 인식하는 것이 좋다. 발문: 3등분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친구들과 상의해서 알아보세요 2015. 3. 21. 약수와 배수 약수와 배수어림 - street math (실제수학) 발문 : 6은 어떤 수들이 접착되어 (곱해져서) 만들어진 것일까? 배수 이해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왜 2와 3을 곱하면 최대공약수가 되는가? 2015. 3. 21. 수학 르네상스 - 토론수업 [분수에서의 토론수업] 2015. 3. 19. 소수 지도 (진단, 도입,위치기수법) [소수] 소수 학습의 계열 소수를 가르치기 전 - 3학년 교육과정의 이해도 진단 필요 교과서 외에 소수를 다루는 부분 - 신문, 잡지, 다른 교과교과서 자료에 소수가 많다. - 조사 시키고 찾아보게 한다.- 소수란 수학에서만 다루는 것이 아니다! 인식. 수집된 자료로 수업 재구성 가능0.01의 도입 십진수 체계에서 0.1이 1/10이 되어 0.01이 된다는 이해를 유도.10배는 왼쪽, 1/10은 오른쪽으로 자리가 이동됨을 인식토록 함, [소수 단원 진행 재구성] 위치기수법 - 왼쪽으로 갈 수록 자리값이 커진다. 2015. 3. 18. 수학 르네상스-분수 (단위분수의 위력) [분수] 분수 학습의 계열 진분수 개념의 도입 : 왜 진분수인가? (선행학습을 한 것 같은 아동에게 질문을 던져 보기 : 지금까지 분수라 했는데, 왜 진분수라 하는 거지?-응답에 반응하지 말고, 과연 그럴까? 식으로 여운을 주자. 분수의 두 가지 의미 4학년 - 단위분수의 확장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자[단위분수의 위력] 싱가폴 수학 (단위분수를 이해시킬 수 있는 예제) (단위분수를 이해시킬 수 있는 예제 2) [가분수 도입] 모둠 토론 가능한 제시물 [답이 중요하지 않다. 답이 왜 나오는지 설명하는 것이 중요.] 만일, 선행학습에 의해 분수의 덧셈 게념을 도입하려 한다면, 위 그림으로 설명이 되도록, 단위분수를 도입하도록 교사가 유도할 필요.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과정 2015. 3. 18. 수학 르네상스 - 곱셈의 다른 방법 다양한 곱셈법 1) 손가락으로 하는 구구곱셈2) 격자 곱셈법, 선 긋기 곱셈법3) 결합법칙 이해4) 나눗셈 단원 전체 흐름5) 동수누감 나눗셈 1) 손가락으로 하는 구구 곱셈프랑스 초등교과서 - 옛 사람들의 곱셈 4이하는 쉽다고 생각했나? 5이상은 많다고 생각했나? 수학은 문제 를 해결하는 학문.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해결 방식은 여러 가지. 삶엔 여러 문제가 나온다. 문제 해결 방법은 많다. 문제 해결 과정이 바로 삶 2) 격자 곱셈법인도에서 나온 곱셈법 3) 선긋기 곱셈법곱셈 알고리즘 적용 4) 결합법칙의 이해 (세 수의 곱셈) 47 X 6 X 50 결합 법칙을 어떻게 가르칠까?암탉 47마리, 일주일에 6개의 알. 50주동안 낳는다. 발문을 어떻게 할 것인가? 나눗셈 단원의 전체 흐름 3학년에서 나.. 2015. 3. 17. 수학 르네상스 - 곱셈 알고리즘 다지기 곱셈과 나눗셈 4-1-2 단원 - 초등학교 곱셈 연산의 최종 마무리 단계. 보완할 기회 없음. 수포자 학생 발생의 결정적 단원. 3학년에서 나눗셈 기초에서 한 번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표준 곱셈 알고리즘 완벽한 이해 필요. 나눗셈의 기본 알고리즘도 완결하도록 되어 있다. 전체 단원 중 가장 많은 시간이 배당됨. 익숙해지도록 완벽하게 하고 넘어가야 한다. 아니면 이후의 학습이 어려워짐 1) 만의 열 배 는 10만이다 = 10000 X 10 = 100000 '배'=X 로 나타냄을 지도. 2) 십진법 표기의 곱하기 표시ⓐ12X3000 과 ⓑ200X3000 어느 것이 더 쉬운가? 자릿수는 ⓐ가 작지만 셈은 ⓑ가 더 쉽다. 지릿수 조정만 하면 됨.곱셈 단원의 활동 여러 가지는 아래의 2단계로 구성된다. (1)~.. 2015. 3. 16. STEAM과 세계 스팀이 교육에서의 또다른 유행처럼 될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다른 나라에서 하니 좋아 보여서 시작했다고 보입니다. 조선조 말의 실학과 같은 건데. 요즘으로 치면 초등 실과가 이런 거구요. 인문교육과 실업교육으로 나뉘었던 지난 시절, 인문적 소양을 닦을 수 없었던 인문계 학교, 실생활에 적용되기 힘들고 기껏해야 공부 못하는 아이들이 가야 했던 실업계 교육. 이 비뚤어졌던 걸 온전히 제대로만 돌려 놓으면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전~~혀 몰랐던 듯, 획기적이고 새로운 것인양 도입해 버리는군요. 차라리 초등학교에서 실과를 중심으로 생존교육과 행복교육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의 모든 교육, 입시든, 창의성이든, 스팀이든 모두, 지금의 사회가 이대로 쭉~~~ 발전만 할 것이라는 대책없는 낙관에 근거한 교육이.. 2014. 4. 22. STEAM 과 미래 진로교육의 당위성사회의 변화 : 지식기반 경제사회에서 창조기반 경제사회로 이전. 진로인식과 노동시장의 변화로 인해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바르게 설정해야 함 초등학교 단계의 진로교육 차세대 유망 산업과 직업 6T 살펴보기 미래에 유망한 직업 2014. 4. 22. STEAM 교육을 위한 다양한 참고 자료 2014. 4. 22. STEAM 수업 사례 4학년 강낭콩의 일생 (과학 + 미술)1차시 (과학) 인천광역시 교육청 융합인재 프로그램 개발 자료 (2012) 2~3차시 미술 5학년 강낭콩의 일생 (과학 + 미술) 6학년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 설계하기 (과학2 + 미술2) 2014. 4. 22.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