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서버는 10년된 삼성놋북. 메모리를 512로 올리니 절전형서버가 되었다. 하드는 겨우 34기가.
원래 내 홈피의 자료와 제로보드 게시판을 포기한건 무차별 공격해대는 스팸댓글 때문이었다. 그냥 아파치서버를 돌려 보여주기만 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기로 한 거다. 물론 상향 384Kbps라는 엄청난 ADSL속도도 그런 결정의 큰 이유였다.
작년말 100MBps 광랜이 들어왔다. 10년 뒤진 속도를 일거에 보상하는 듯, 잘 나올 때 다운로드 속도 33배, 업로드 속도 200배 빨라졌다. 상상이 안되는 비교다.그래도 제로보드를 돌리기엔 놋북으론 무리. 대신 협력 학습 도구인 무들을 설치해 보고 테스트 해 보기로 했다.아래는 그 과정
[MySQL 사용 가능하게]
- 노트북의 서비스 중 Apmsetup_mysql5를 사용가능으로.
- Apmsetup6의 Mysql서비스를 시작
- 아파치 설정 파일 중 httpd-alias를 열어 myadmin 디렉토리 설정을 바꿨다. (Deny from all 제거)
- 아파치 재시작, phpmyadmin으로 들어가 데moodle DB 생성, 사용자 생성, mysql-db 란에서 사용자를 Moodle DB에 연결했다.
- MySQL서버 재시작.
[무들 설치하기]
- 무들 1.9 버전 압축파일을 무들다운로드페이지에서 받아 내 서버의 루트에 복사한 뒤 서버에서 압축을 풀었다. moodle 디렉토리가 만들어진다.(압축을 풀어 FTP로 올리면 시간이 무진장~~)
- 서버주소/moodle/ 하면 설치를 시작한다. 설치언어는 한국어로 조정.
- 체크를 한다. 내 서버의 php 설정 중 register_globals=off 설정이 안되어 있단다. 하지만 php.ini 에는 바르게 설정되어 있었고, 서버 루트의 .htaccess 파일 안에 register_globals on 으로 되어 있는 걸 발견하고 이 파일을 다운로드 후 수정하여 업로드했다.
- 주의사항은 있지만 기본으로 제시하는 디렉토리가 있으므로 다음 만 눌렀다.
- DB설정. 아까 만든 DB와 DB사용자 이름, 사용자 암호를 넣는다.
- 무들 활용에 필요한 기능이 빠져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문제해결법은 아래 녹색박스에.
서버의 php.ini를 열어 다음의 세 행을 찾는다
;extension=php_curl.dll
;extension=php_openssl.dll
;extension=php_xmlrpc.dll
이 구문 앞의 ; 를 삭제한 뒤 저장하고 아파치 서버를 재시작 한다.
- 한국어 언어팩을 내려받았다. 내려받기는 서버에서 진행되었다.
- 초기 설정이 끝났다. 계속 버튼을 눌러 본격 설치에 들어갔다
- 저작권 내용과 프로그램 발표 세부사항 등을 알린다. 여기서 부재 작동 에 체크하면 설치과정중 일부가 자동으로 진행된다.
- 설치 과정은 이와 같은 화면이 계속 나오는 상태다. 과정은 DB만들기-모듈테이블 설정-플러그인 테이블 설정-블럭 테이블 설정-플러그인 테이블 설정 순서로 진행되었다.
- 설치가 끝난 뒤 관리자 설정을 한다. 암호를 만들 때 보안사항이 많다. 그 외 사진, 설명 등등을 넣을 수 있다.
- 운영될 무들 사이트의 초기설정을 한다
- 다 설치된 후의 초기화면. 기능은 풍부하지만 단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