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5

論語 第八 泰伯 (2/22~3/21) 식탁위의 논어 강의 (참고자료) : http://losermarxdr.tistory.com/1040 논어 기본교재 : http://osj1952.com.ne.kr/interpretation/non/kframe1.htm 泰伯第八 一. 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자왈 태백 기가위지덕야이의 삼이천하양 민무득이칭언 주나라의 태백은 지극한 덕을 지닌 사람이다. 세 번 거듭 왕위를 양보한다 하여 결국 양보했는데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백성들이 그 덕을 칭송할 줄도 몰랐다.* 태백은 주나라 문왕의 큰아버지이며 장자(왕위계승자). 하지만 문왕의 영특함을 생각하여 왕위를 문왕의 아버지인 계력(3남)에게 양보하고 고향을 떠나 오나라 지역에 정착하여 오나라의 시조가 됨. 二.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 2015. 3. 21.
論語 第六 雍也 (10/19~11/22) 식탁위의 논어 강의 (참고자료) : http://losermarxdr.tistory.com/1040 논어 기본교재 : http://osj1952.com.ne.kr/interpretation/non/kframe1.htm 雍也第六 1. 子曰 雍也 可使南面 자왈 옹야 가사남면 ; 使 부리다 南面 - 남쪽으로 면하고 앉는 자 = 임금 仲弓 問 子桑伯子 子曰 可也簡 중궁문 자상백자 자왈 가야 간 ; 중궁(옹)이 자상백자는 어떤지요 물으니, 자왈 "좋다. 그러나 간소하다"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중궁왈 거경이행간 이림기민 불역가호? 공경을 바탕으로 하면사도 소탈함으로 백성을 대하면 역시 좋지 아니합니까?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거간이행간 무내대간호 ;소박한 태도로 소박하게 행하면 너무 소박한 게 아닐런지.. 2014. 10. 19.
論語 第五 公冶長 (9/20~10/11 학습) 논어 第五 公冶長 1. 子謂 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자위 공야장 가처야 수재누설지중 비기죄야 이기자처지 공자가 공야장에 대해 이르기를 "사위로 삼을 만한 사람이다. 비록 구속되어 있지만 그의 죄가 아니다" 하며 딸을 그의 아내가 되게 하였다. * 공야장은 공자의 제자 * 縲(누): 검은 밧줄 絏(설): 매다. * 옛날 죄인을 감옥에 둘 때 검은 밧줄로 매 놓은 것을 비유하여 누설은 감옥에 갇힌다는 의미. *子: 자식, 여기서는 딸. 2. 子謂 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 자위 남용 방유도 불폐 방무도 면어형륙 이기형지자처지 공자가 남용에 대해 이르기를, 나라에 도가 있다면 버림받지 않고(등용 될 것이고), 나라가 어지러울 때에도 형벌을 면할 사람이다. 하며 형의.. 2014. 8. 25.
論語 第四 里仁 (8/16,24학습) 論語 第四 里仁 1.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인을 행하는 마을에 사는 것이 아름답다 한다. 인을 행하는 곳을 택하지 못한다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가이인: 인을 행하는 곳에 거주2. 子曰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 자왈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안인 지자이인 어질지 못한 사람은 곤궁함을 오래 견딜 수 없고 행복도 길게 누릴 수 없다. 어진 이는 인을 편안히 실천하고 지혜로운 이는 인을 바란다.約: 검약하다. 곤궁한 생활을 하다.樂: 즐겁다. 곧 편안하다는 뜻3. 子曰惟仁者 能好人 能惡人 자왈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오직 어진 이만이 좋아해야 할 사람을 좋아하고 미워해야할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4. 子曰苟志於仁矣 無惡也 자왈구지어인의 무악야.. 2014. 8. 24.
論語 第三 八佾 (7/12일 학습) 논어 第三 八佾1. 孔子謂季氏 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공자위계씨 팔일무어정 시가인야 숙불가인야공자가 계씨(계손씨)에 대해 말하였다, 팔일무를 뜰에서 하니, 이런 일을 참고 넘어간다면 어떠한 일을 참지 못하겠는가 (다른 일을 어떻게 비난할 수 있겠는가.)八佾舞: 8열 64명의 무용수가 조를 짜서 추는 춤. 천자에게만 허용되어 있다. 제후는 가로세로 6열 36명이 조를 짜서 추는 춤이 허용되어 있고, 제후의 가신들에게는 가로세로 4열 16인의 춤 밖에는 허락되지 않는 것이 그 당시 예인데 계씨는 제후의 가신이었다. 사일무가 아니라 팔일무를 추니까 공자가 비판을 한 것.2. 三家者以雍徹 子曰 相維辟公 天子穆穆 奚取於三家之堂 삼가자이옹철 자왈 상유벽공 천자목목 해취어삼가지당 삼가들이 옹에 맞추어 제물을 .. 2014. 7. 20.